가족은 늘 가까이 있는 듯하지만, 때로는 가장 멀고 낯선 이름이 되기도 한다. ‘가족이니까’ 감내해야 하고, ‘가족이 아니니까’ 할 수 없는 일들이 있다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진다. 한국에서 ‘가족’이라는 단어를 떠올리면 여전히 결혼, 혈연, 입양 같은 익숙한 풍경이 먼저 스친다.
하지만 현실은 이미 달라지고 있다. 혼자 사는 사람, 결혼하지 않기로 한 친구, 반려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이웃, 그리고 법적 관계로 묶이지 않았지만 서로를 돌보며 살아가는 모습은 이제 더 이상 낯설지 않다. 그럼에도 ‘정상가족’이라는 기준은 여전히 견고하다. 전통적 가족 형태는 아무 의문 없이 받아들여지지만, 그 밖의 삶은 예외적이거나 비정상적인 것으로 여겨져 쉽게 수용되지 않는다. 제도와 사회적 인식은 익숙한 틀 안에 머물러 있으며, 다양한 삶의 방식을 충분히 포용하지 못한다.
김순남은 『가족을 구성할 권리』에서 누구나 원하는 방식으로 가족이나 공동체를 만들고 차별 없이 살아갈 권리가 있다고 말한다. 그는 가족을 저항의 언어로 새롭게 상상할 것을 제안한다. 가족은 정해진 형태가 아니라, 서로를 돌보고 살아가려는 마음과 일상의 연결 속에서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번에 소개하는 다섯 권의 한국문학은 바로 이 지점에서 출발한다. 가족이라는 이름에 갇히지 않는 관계와 삶의 가능성을 그리며, 각기 다른 방식으로 그 경계를 확장하면서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이 책들이 보여주는 풍경은 가족이라는 말로 쉽게 정의할 수 없는 관계의 소중함을 떠올리게 하고, ‘나’로 살아갈 권리를 보장하는 공동체에 대해 생각하게 만든다. 오늘날 많은 한국문학이 가족을 둘러싼 질문을 포함하며, 정해진 틀로는 다 담을 수 없는 삶의 형태와 감정들을 그려낸다. 우리는 지금 어떤 이름으로 서로를 부르고 있을까. 이 책들을 읽는 시간이 그 이름을 다시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황정은의 『계속해보겠습니다』는 결혼과 출산, 가족이 되는 일이 아무런 의심 없이 ‘당연한 선택’으로 여겨지는 현실에 질문을 던진다. 소설은 소라, 나나, 나기의 목소리로 전개된다. 그중 나나는 아이가 생기면 결혼해야 하고, 가족이 되면 남이 아니게 된다는 통념을 거부하며 홀로 아이를 키우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나나는 혼자이면서도 혼자가 아니다. 분리되어 있지만 연결된 집에서, 소라와 나기와 함께 밥을 먹고 서로를 돌보며 살아간다. 이들의 관계는 전형적인 가족은 아니지만, ‘새로운 가족’이라는 이름으로도 온전히 설명할 수 없다. 그저 서로를 향한 깊은 유대와 돌봄, 그리고 계속 살아가려는 의지로 이어진 존재들이다. 가족이라는 말로 쉽게 정의할 수 없는 관계들의 소중함을 느끼게 하고, 가족이라는 이름 자체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소설이다.
부계혈통 중심의 가부장적 가족제도 바깥에서 살아온 여성의 삶은 어떤 가족을 만들어낼까. 정세랑의 『시선으로부터,』는 이혼과 재혼, 비혼과 비출산, 비혈연 가족 등 삼대에 걸친 다양한 삶의 방식을 통해 전통적인 가족의 틀을 경쾌하게 비껴간다. 각기 다른 가치관을 지닌 구성원들은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서로를 속박하지 않고 존중하며 살아간다. 소설의 중심에는 심시선의 10주기 제사를 위해 가족들이 함께 떠난 하와이 여행이 있다. 그곳에서 가족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시선을 추억하고, 제사의 의미를 의례가 아닌 살아 있는 기억과 함께 살아가는 감각으로 다시 써 내려간다. 이 소설은 다양한 선택과 관계가 공존하는 현대 가족의 모습을 유쾌하면서도 따뜻한 시선으로 그려낸다. 함께 읽으면 좋은 소설로는 최은영의 『밝은 밤』, 황정은의 『연년세세』가 있다.
누군가를 이해하고 사랑하는 일에는 언제나 마음이 다치고 부서지는 순간이 따라온다. 무지와 오해 속에서 끝내 좁혀지지 않는 차이를 마주하면서도, 여전히 나란히 서 있으려는 마음이 있다. 윤이형의 소설은 가족을 둘러싼 그 어떤 틀로도 다 설명할 수 없는 관계의 복잡함에 대해 질문한다. 「작은마음동호회」는 가사와 육아에 지친 기혼 여성들이 목소리를 찾아 나서려는 시도와 함께 기혼 여성과 비혼 여성 사이의 오해와 갈등을 담아낸다. 「승혜와 미오」는 가족을 꾸리는 문제로 부딪치는 레즈비언 커플의 일상, 「마흔셋」은 트랜스젠더 자녀와 어머니의 관계를 그린다. 이 소설들은 모든 관계의 시작이 완벽한 이해가 아니라, 서로를 향한 작은 애정과 함께하고 싶은 마음에서 비롯된다고 말한다. 작가의 다른 소설 「그들의 첫 번째와 두 번째 고양이」(『2019 제43회 이상문학상 작품집』)도 함께 읽어 보길 바란다.
성해나의 첫 소설집 『빛을 걷으면 빛』은 전통적인 가족의 경계를 넘어설 때 비로소 가능해지는 돌봄과 연대의 순간들을 섬세하게 포착한다. 작가의 등단작 「오즈」에서는 독거노인 오즈와 청년 하라가 하우스 셰어링을 하며, 처음에는 서로에게 무심한 타인으로 지내다가 서서히 고통과 상처를 나누며 관계를 맺어 간다. 그러나 법적으로 가족이 아닌 하라는 오즈의 죽음 앞에서 돌봄과 애도의 권리를 갖지 못한 채 관계 밖으로 밀려난다. 서로를 향한 마음의 크기가 관계의 조건이 되지 못하는 현실을 비춘다. 이 책에 수록된 다른 소설들 역시 가족을 중심으로 형성된 공동체가 외부의 타자를 어떻게 밀어내는지 그려낸다. 그리고 그 경계를 넘어서려는 인물들의 시선을 따라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규정되지 않아도 빛나는 연결의 순간들을 담아낸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는 혼자 사는 삶이 아니면 결혼만이 선택지로 여겨지는 한국사회에서, 두 여성이 결혼 외의 방식으로 ‘함께 사는 삶’을 선택하고 그 모습을 기록한 에세이다. ‘여자 둘, 고양이 넷’으로 이루어진 이 가족은 W₂C₄라는 분자식으로 표현된다. ‘분자 가족’은 화학 구조처럼, 다양한 사람들이 자유롭게 모이고 흩어질 수 있는 가족에 대한 새로운 상상을 담고 있다. 이 책은 망원동 이웃들과 서로 돌보고 지지하며 살아가는 정다운 공동체의 모습도 함께 그려낸다. 친밀함과 돌봄의 관계는 더 이상 혈연이나 법으로 맺어진 가족만의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이행미 집필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문학에 나타난 가족과 여성, 소수자의 의미와 재현의 윤리를 중심에 두고 연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미디어와 문학의 관계에도 주목하고 있다. 주요 연구로는 『요동치는 가족: 가족법의 탄생과 한국 근대문학의 상상력』(2023), 『반영과 굴절 사이: 혐오 정동과 문화 재현』(공저, 2022), 「전혜린의 일기에 나타난 ‘모성’이라는 문제」(2023), 「번역의 수행성과 젠더 재현의 역학-로맨스 판타지 웹툰의 문화적 재구성」(2024) 등이 있다.
Family seems like it’s always so close, yet at times it becomes the most distant and unfamiliar name. It is widely accepted without question that there are things we’re expected to endure “because we’re family” and that there are also things we can’t do “because we’re not family.” In Korea, the word “family” readily conjures up familiar images of marriage, blood relations, and adoption.
Reality, however, has already shifted. One-person households, friends who have chosen not to marry, neighbors who live with animal companions, and couples who take care of each other without legal status—these lives are no longer unusual. Yet, even so, the concept of the “normal family” remains firmly entrenched. Traditional family structures are accepted without scrutiny, while lives that fall outside those norms are still viewed as exceptions, or even as deviant, and are not easily embraced. Institutions and social perceptions remain trapped within familiar frames, failing to fully accommodate the diversity of lifestyles.
In her book, The Right to Found Families (Gajok-eul guseonghal gwolli), Kim Sun-nam asserts that everyone has the right to form families or communities in the way they choose, and to live without discrimination. She proposes that we reimagine family with a language of resistance. Family is not a fixed structure but something that can take many forms, rooted in the desire to care for one another and the connections of everyday life.
The five works of Korean literature introduced here begin at this very point. They explore relationships and lives that are not confined by the label of “family,” expanding its boundaries in different ways while posing thought-provoking questions. The scenes portrayed by these books remind us of the value of relationships that can’t be easily defined by the word “family,” and prompt us to consider communities that affirm our right to live as our authentic selves. Today, much of Korean literature grapples with questions around family and portrays lives and emotions that cannot be fully captured in a fixed framework. Then, what names do we now use to call one another? I hope the time you spend reading these books offer a chance to reflect on those names anew.
Hwang Jungeun’s I’ll Go On questions a reality where marriage, childbirth, and forming a family are unquestionably accepted as “natural choices.” The novel unfolds in the voices of Sora, Nana, and Naghi. Among them, Nana rejects the conventional idea that pregnancy requires marriage and that becoming family means you're no longer strangers to each other, deciding instead to raise her child on her own. Yet she is not fully on her own. Living in separate but connected apartments, she shares meals with Sora and Naghi, and the three of them care for one another. They’re not a conventional family, nor can their relationship be fully captured by the label “chosen family.” They are simply people bound by a profound bond, mutual care, and the shared determination to keep on living. This novel allows us to value relationships that cannot be easily defined by the word “family” and prompts us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family entirely.
What kind of family does a woman create when she has lived outside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centered on paternal bloodlines? Chung Serang’s From the Gaze, nimbly sidesteps traditional family frameworks through three generations who have made diverse life choices—divorce and remarriage, remaining unmarried and childless, and forming families beyond blood relations. Family members with different values live together with mutual respect, refusing to bind each other in the name of family. At the novel’s center is a family trip to Hawaii for the tenth memorial jesa ritual for Shim Siseon. There, the family members remember Siseon in their own ways, rewriting the meaning of the memorial jesa, not as a ritual, but through living memories and the sense of living together. With humor and warmth, this novel portrays a contemporary family where diverse choices and relationships coexist. Recommended companion reads include Choi Eunyoung’s Bright Night and Hwang Jungeun’s Years and Years.
Understanding and loving someone always comes with moments of pain and heartbreak. Even when facing unbridgeable differences through ignorance and misunderstanding, there remains a desire to stand by each other’s side. Yun I-Hyeong’s book questions the complexity of relationships that cannot be fully explained by any framework of family. “The Little Hearts Club” (Jageun maeum donghohoe) captures married women exhausted by housework and childcare as they attempt to find their own voices, while also exploring misunderstandings and conflicts between married and unmarried women. “Seunghye and Mio” (Seunghye-wa Mio) depicts the daily life of a lesbian couple struggling with questions of forming a family, while “Forty-Three” (Maheun set) portrays the relationship between a transgender child and their mother. These stories suggest that all relationships begin not with perfect understanding, but with small affections toward one another and the desire to be together. I also recommend another short story by the same author, “Their First and Second Cats” (Geudeul-eui cheot beonjjae-wa du beonjjae goyangi, Anthology of the 43rd Yi Sang Literary Award 2019 (2019 43hoe Yi Sang munhaksang susangjip)).
Seong Haena’s first short story collection Light Underneath Light delicately captures moments of care and solidarity that become possible only when we cross traditional family boundaries. In the author’s debut short story “Oz,” an elderly recluse named Oz and a youth named Hara become housemates, initially remaining indifferent strangers but gradually forming a relationship as they share their pain and wounds. However, because they are not legally family, Hara is pushed outside the relationship when Oz dies, denied the right to provide care for or mourn him. This story reflects a reality where the depth of one’s affection cannot determine the legitimacy of a relationship. Other short stories in this collection also depict how family-centered communities exclude those deemed outsiders. Through the gazes of characters who seek to cross those boundaries, the book captures radiant moments of connection that shine even without being defined by the word “family.”
Two Women Living Together is a memoir that documents the life of two women who choose to live together, not as a married couple but as an alternative to living alone, in Korean society where the only socially accepted options often seem to be either marriage or singlehood. Their household, made up of “two women and four cats,” is playfully described as the molecular formula W₂C₄. This idea of a “molecular family” imagines a new kind of family structure, where people can come together and drift apart freely, like atoms in a molecule. The book also paints a portrait of the warm community in Mangwon-dong, where neighbors support and care for one another, demonstrating that intimacy and caregiving are no longer exclusive to familial relationships defined by blood or law.
Written by Lee Haeng-mi
HK Research Professor, Sookmyung Research Institute of Humaniti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Her research focuses on the meaning and ethics of representation of family, women, and minorities in Korean literature, with recent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media and literature. Her major research works include Turbulent Families: The Birth of Family Law and the Imagina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Yodongchineun gajok: gajokbeop-eui tansaeng-gwa Hanguk geundae munhak-eui sangsangnyeok, 2023), Between Reflection and Refraction: Hate Affect and Cultural Representation (Banyeong-gwa guljeol sai: hyeomo jeongdong-gwa munhwa jaehyeon, co-authored, 2022), “The Issue of 'motherhood' in Jeon Hye-rin's Diary” (2023), and “The Performativity of Translation and the Dynamics of Gender Representation: Cultural Reconfiguration of Romance Fantasy Webtoons” (2024).
Translated by Stella Haena Kim
Stella Kim is the recipient of the 2014 LTI Korea Award for Aspiring Translators and the 2016 Korea Times' Modern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Award, as well as multiple LTI translation grants and an Academy of Korean Studies grant. She has translated a number of short stories by authors including Gu Byeong-mo, Kang Hwa-Gil, Lee Kiho, Lee Jangwook, and Kim Seong Joong. Her book-length translations include Launch Something! by Bae Myung-hoon (2022, Honford Star) and Painter of the Wind by Lee Jung-myung (co-translated, 2023, Harriett Press). Her translations have appeared in Asymptote, Asia Literary Review, and Korean Literature Now. She currently works as a freelance translator and interpreter while teaching translation a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More Content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