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번역원 로고

KLWAVE로고

Sign in New account

TOP

Paik, Nak-chung

Paik, Nak-chung scrap

백낙청

  • Category

  • Target User

  • Period

Author Bio 작가 소개

백낙청(1938~)은 한국의 비평가, 영문학자, 사회운동가이다. 1966년부터 40여 년간 《창작과 비평》1)의 편집인을 지냈으며, 민족문학론, 분단체제론, 이중과제론 등을 제기하며 한국문학의 비평담론을 주도했다. 1970년대부터 반독재 사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2000년대 이후에도 통일운동가로 활발하게 활동했다.

1. Life

1938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1955년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브라운대학교에서 영문학과 독문학을 공부하였다. 1959년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 입학했고, 1972년에 D.H. 로렌스 연구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4년 서울대 교수가 되었고, 1974년 유신헌법 반대 성명을 발표하여 파면되었다. 1980년 복직하여 2003년 정년퇴임할 때까지 근무했다.

1966년 창간을 주도하고 40여 년간 편집인을 맡은 계간지 《창작과 비평》은 백낙청의 문학 활동과 뗄 수 없는 관계가 있다. ‘창비’라는 약칭으로도 잘 알려진 《창작과 비평》은 단순한 문예지의 차원을 넘어 실천적 문학운동을 지향하며 1960-1970년대의 ‘계간지 시대’2)를 주도한 지식인 집단의 모체라고 할 수 있다. 《창작과 비평》은 1980년 전두환 독재 정부3)의 압력으로 폐간되었다가 1988년 복간되었다.

백낙청은 1970년대부터 자유실천문인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사회 민주화 운동의 주도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1996년에는 자유실천문인협의회가 개편된 민족문학작가회의의 이사장을 지냈다. 2005년 6.15 공동선언실천을 위한 남측 준비위원회 상임대표를 맡았고 2007년에 다시 재선되었으며 2009년에 명예대표로 추대되었다. 2009년에는 한반도평화포럼을 창립하여 공동대표와 공동이사장을 지냈다.4)

1966년 〈새로운 창작과 비평의 자세〉를 발표하면서 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이어 〈시민문학론〉(1969), 〈민족문학 개념의 정립을 위해〉(1974), 〈리얼리즘에 관하여〉(1981), 〈통일운동과 문학〉(1989), 〈지구화시대의 민족과 문학〉(1998) 등의 평론들을 발표하면서 한국문학의 이론비평 분야를 주도했다. 심산상(1987), 대산문학상(1993), 한겨레통일문학상(2009) 등을 수상했다.

2. Writing

백낙청의 글쓰기는 영문학, 인문학, 사회비평, 문학비평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백낙청의 문학세계를 대표하는 분야는 단연 이론비평이라고 할 수 있다. 해방 이후 한국문학에서 손꼽히는 이론비평가 백낙청의 비평 세계는 시민문학론, 민족문학론, 분단체제론, 이중과제론, 리얼리즘론 등으로 전개되었다.

시민문학론:
시민문학론은 백낙청이 제시한 최초의 문학이론이다. 〈시민문학론〉(1969)에 따르면 서구의 시민계급과 시민의식은 봉건제도의 해체기에 등장하기 시작하여 프랑스혁명기에 절정기에 도달했다. 반면 한국의 시민의식은 조선 후기의 실학과 동학운동에서 싹텄으며 일제 강점기의 3.1운동으로 계승되었다. 시민문학론은 서구 문학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보면서 1970년대의 민족문학론으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평가된다.5)

민족문학론:
〈민족문학 개념의 정립을 위해〉(1974)에서 백낙청은 민족문학이란 ‘민족의 주체적 생존과 인간적 발전이 요구하는 문학’이라는 유명한 정의를 내렸다.6) 그에 따르면 민족문학은 열강의 침략으로 민족의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요구된 특수한 개념이며, 한국의 경우 식민지 통치하의 한국 민족·민중의 반식민·반봉건적 요구에 부응한 문학이다.7) 이처럼 민족문학은 철저하게 역사적인 개념이고, 역사적 상황이 존재하는 한에서만 의미를 지니는 것이었다. 백낙청은 외국어로 번역하기 대단히 어려운 한국의 특수한 민족문학의 성격을 보편적 세계문학과의 관계 속에서 설명하기도 했다.8) 민족문학론은 시민문학론의 자연스런 발전 형태이며, 거기에는 이후 전개된 분단체제론, 이중과제론의 핵심이 담겨 있다.

분단체제론:
백낙청은 1980년대의 벌어진 사회구성체논쟁9)에 개입하면서 민족문학론의 연장선상에서 분단체제론을 제기했다.10) 분단체제론은 한반도에서 적대적으로 공존하는 한국과 북한의 독특한 두 체제를 세계체제의 하위 시스템 중 하나로 파악한다.11) 분단체제론의 설명에 따르면, 한반도 분단체제의 극복은 남북한의 단순한 통일이나 민족국가의 복원과 다르며, 세계체제의 변화와도 밀접하게 연동되는 복잡한 과정이다. 이러한 시대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변혁적 중도주의’라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변혁적 중도주의에서 변혁은 한반도 분단체제의 변혁을 뜻하며, 중도주의는 이를 위해 남한 사회에서 취해야 할 실천노선이다.12) 복잡한 이론 체계를 갖고 있는 분단체제론은, 남한과 북한이 각기 다른 체제로 공존하고 있는 현실을 인정하면서 한반도 전체의 발전과 변화를 구상한 독창적인 이론으로 평가된다.

이중과제론:
이중과제론은 민족문학론, 분단체제론의 연장선에서 한반도를 넘어 세계 전체를 적용 대상으로 삼은 이론이다.13) 백낙청이 ‘근대 극복과 근대 적응의 이중과제’를 처음 제기한 글은 〈한반도에서의 식민성 문제와 한국 근대의 이중과제〉(1999)이다. 이중과제는 장기적인 시간대에서 자본주의 세계체제에서 보편적 의미를 갖는 실천범주이지만, 실천의 구체적인 양상은 국가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중기적 시간대에서는 한반도 차원에서의 분단체제 극복, 단기적 시간대에서는 한국사회에서의 변혁적 중도주의로 발현된다.14)

 

리얼리즘론:
백낙청의 리얼리즘론은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한국문학에서 간헐적으로 전개된 리얼리즘 논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15) 백낙청은 〈시민문학론〉(1969)에서 서구 근대문학사에서 리얼리즘이 형성되는 과정을 소개하면서 성숙한 역사의식에 기반한 리얼리즘을 시민문학의 창작원리로 제시했다. 백낙청은 리얼리즘을 창작방법의 차원이 아닌 정신의 문제로 간주하며, 사실적인 묘사보다 현실에 대한 정당한 인식과 실천적 관심을 강조한다. 백낙청의 독특한 리얼리즘론은 로렌스의 소설론, 하이데거의 예술론, 불교적 진리관이라는 이질적인 세 요소를 통합한 것으로 평가된다.16)

Reference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56639&cid=46668&categoryId=46668
2) ‘계간지 시대’는 1966년 《창작과 비평》이 창간되고, 1970년 《문학과 지성》이 창간되어 두 잡지가 공존하다가 1980년 강제 폐간되기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계간지 시대’는 이후 한국문학의 틀을 마련한 설정적 시기로서의 의의를 지니며, 매체사적으로 기존 동인지에 비해 개인적인 체계를, 문학사적으로 문학의 시대적 사명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인식을, 비평사적으로 외재적 비평으로 전환과 활발한 방법론적 탐색을 그 특징으로 한다.(안서현, 〈계간지 시대 비평 담론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 학생백과: 제5공화국 전두환 정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86401&cid=47322&categoryId=47322
4) 백낙청의 생애는 《약전으로 읽는 문학사1》(소명, 2008)의 〈백낙청〉 부분, 《백낙청 회화록》의 〈백낙청 연보〉에 근거하여 작성하였다.
5)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4911&cid=41708&categoryId=41737
6) 한국민족문학대백과: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57838&cid=46645&categoryId=46645
7) 한국현대문학대사전: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4912&cid=41708&categoryId=41737
8) 손유경,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을 통해 본 1970년대식 진보의 한 양상〉, 《한국학연구》35,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9) 나무위키: 사회구성체 논쟁
https://namu.wiki/w/%EC%82%AC%ED%9A%8C%EA%B5%AC%EC%84%B1%EC%B2%B4%20%EB%85%BC%EC%9F%81
10) 이상갑, 〈내부의 시선과 외부의 시선의 균형감각〉, 《한국학연구》17,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2
11) 이순애, 〈백낙청의 분단체제론〉, 《오늘의 문예비평》, 오늘의 문예비평, 2001.
12) 네이버 책 소개: 《변화의 시대를 공부하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654989
13) 네이버 열린 연단: 근대, 적응과 극복의 이중과제
https://openlectures.naver.com/contents?contentsId=48484&rid=251#literature_contents
14) 예스24 책 소개: 출판사 서평
http://www.yes24.com/Product/Goods/3367360
15) 한국근현대사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0474&cid=62048&categoryId=62048
16) 김미영, 〈백낙청의 리얼리즘론과 로렌스, 하이데거, 불교의 관련성〉, 《한국현대문학연구》44, 한국현대문학회, 2014.
17) 한국문학번역원 디지털도서관 https://library.ltikorea.or.kr/node/9872
18) 한국문학번역원 디지털도서관 https://library.ltikorea.or.kr/node/41295
19) 창비 https://www.changbi.com/archives/44902?cat=3378
20) 한국문학번역원 디지털도서관 https://library.ltikorea.or.kr/node/8239
21) 한국문학번역원 디지털고서관 https://library.ltikorea.or.kr/node/31891
22) 百度 豆瓣读书 https://book.douban.com/subject/26021966/

View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