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WAVE introduces international readers to various works of Korean literature. “New Releases” features title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January and February 2025, selected from Kyobo Book Centre’s “Book of the Month” and Aladin’s “Magician’s Choice” lists.」
This winter stretched longer than usual. We have been waiting eagerly for the sharp, biting winds to retreat. Now, as we finally open our windows, we are greeted by spring’s quiet arrival. A fresh breeze seeps into our daily lives and into our hearts that have patiently endured the cold. Though we might sometimes feel helpless against winter’s indifferent chill, we know better—hearts that have withstood bone-chilling cold are never truly powerless.
It is time to throw open the doors of our hears and welcome spring. This season, we are delighted to share new books from January and February that will strengthen our hearts and spirits.
Baik Sou-Linne’s fourth short story collection, Everything About Spring Nights, showcases the author’s signature delicate and contemplative perspective. The seven stories feature characters navigating their own personal losses—the death of a loved one, breakup with a partner, and others. With her renowned talent as “the writer of light,” Baik masterfully portrays the pivotal moments when her characters emerge from the darkness of their profound pain to finally encounter glimmers of hope.
We all know those moments when the void of what we have lost and their lingering traces left behind weigh heavy on our hearts. Sometimes we fall into despair, feeling as though this frigid winter might never end. Yet Baik reminds us of a powerful truth: even when our lives and the world seem to be in the deepest winters, we can choose to wait for spring. We can choose to believe that spring will come.
Hoping this steadfast belief reaches everyone, we invite you to sense the subtle awakening of spring even in winter’s grip. To envision the warm spring days that inevitably await us. For hearts frozen by loss and absence, Everything About Spring Nights will be a perfect companion for those spring nights when tender green leaves begin to unfurl.
One short story collection has become the first work of Korean literature nominated for the prestigious Philip K. Dick Award—one of the world’s three most distinguished science fiction literary prizes. Bora Chung’s Your Utopia is a revised edition of the Korean short story collection titled To Meet Her, originally published in 2021.
The title story “Your Utopia” follows a smart car carrying the malfunctioning humanoid robot 314 on an endless journey across a barren planet long abandoned by humanity. Throughout this dark and violent world, 314 persistently asks everyone the same question:
“On a scale of one to ten, your utopia is?”
This collection invites us to contemplate our own ideal world. Perhaps the true essence of humanity lies precisely in this determination—our will to demand a better world, to mourn our losses, and to push forward once again.
Slow Rhythms of the Heart weaves together eight heartwarming stories connected by the shared theme of “birthdays.” As author Yoon Sung-hee herself describes the collection, these are “stories about people who walk slowly, see slowly, and think slowly,” and a gentle, unhurried humor flows quietly throughout each narrative.
For those moments when you feel overwhelmed by a society that worships speed and efficiency alone, when you year to reconnect with the value of slowness, Yoon’s fictional world offers a perfect refuge. Slowness, after all, is a pace of its own. The lingering emotions that seep into the “slow rhythms of the heart” leave an impression both profound and abundantly rich.
Ye So-yeon‘s The Dog and the Revolution won the grand prize at the 48th Yi Sang Literary Award. The work carries particular significance as it is the first winner since the award’s administration transferred from Munhak Sasang (Literature & Thought) to Dasan Books last year.
“The Dog and the Revolution” depicts a connection between the 1980s student movement generation and the 2020s feminist youth as they work together to “turn things upside down.” Critics have celebrated it as a work of “radical love that transcends ideology,” opening new horizons in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The collection also features works by Kim Kitae, Moon Ji Hyuck, Seo Jang-won, Jung Ki-hyun, and Choi Min-Woo.
Novelist Kim Keum-Hee has returned with a travel memoir from Antartica, becoming the first Korean novelist to document an extended stay on the frozen continent. This ice-covered land at the world’s end—where no sovereignty, currency, or borders exist—had long been a place the author dreamed of visiting.
Spending approximately one month at Antarctica’s King Sejong Station as a special correspondent for the Korean newspaper The Hankyoreh, Kim experienced with her entire being the process of becoming smaller, simpler, and more humble as a human within the vastness of nature. My Polar Diary captures every moment of her journey—-the overwhelming wonder and profound emotion that nature bestowed upon her throughout this remarkable journey.
Looking back on our teenage years, what stories do we have to tell? Twenty poets have come together to create a special gift for young adults in this unique poetry collection. The Feeling of Sharing a Doughnut features diverse poems exploring the landscape of “emotions,” including the title work alongside others like “The Feeling of Being Loved,” “Summer Feeling,” “The Feeling of Rice Cake and Wheat Cake.” As poet Yoo Heekyung reflects in the preface, perhaps this is because poetry allows us to “travel to tomorrow’s tomorrow’s tomorrow, or measure the vastness of my heart that has grown far beyond my physical height.”
These poems capture emotions and moments that once seemed beyond words. With language both gentle and perceptive, they touch upon our ordinary days that were, in their own way, extraordinary. This collection offers teenage readers the freedom to recognize and embrace their “feelings.”
Poet Go Seon-kyung, who captured readers’ hearts with her debut poetry collection Shower Gel and Soda Water returns with stories that are more candid and weightier than before. Her new collection, A Tomato Firmer Than the Heart, reveals a powerful spirit that confronts life’s unchanging challenges with courage and sharp wit.
Go suggests that even “claiming to know when you don’t” is ultimately “a matter of heart.” Despite life’s continuous losses, she offers the courage to embrace tomorrow alongside “the beauty we’ve shared while living” within “a tomato firmer than the heart” (from her poem “The New Year Without Heavy Snow Falls”).
To those of us seeking strength, the poet offers these words:
“It will be crisp and crunchy.
After all, it is a heart that has weathered winter.”
Translated by Stella Haena Kim
Stella Kim is the recipient of the 2014 LTI Korea Award for Aspiring Translators and the 2016 Korea Times' Modern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Award, as well as multiple LTI translation grants and an Academy of Korean Studies grant. She has translated a number of short stories by authors including Gu Byeong-mo, Kang Hwa-Gil, Lee Kiho, Lee Jangwook, and Kim Seong Joong. Her book-length translations include Launch Something! by Bae Myung-hoon (2022, Honford Star) and Painter of the Wind by Lee Jung-myung (co-translated, 2023, Harriett Press). Her translations have appeared in Asymptote, Asia Literary Review, and Korean Literature Now. She currently works as a freelance translator and interpreter while teaching translation a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LWAVE에서는 해외 독자들에게 다양한 한국문학 작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중 신간 소개 콘텐츠는 2025년 1월, 2월에 출간된 도서 가운데 교보문고의 ‘이달의 책’과 알라딘의 ‘마법사의 선택’에 게재된 작품을 선별해 작성합니다.」
이번 겨울은 유난히 길었습니다. 매서운 칼바람이 물러가기를 바라고 또 기다렸습니다. 마침내 창을 열면, 어느 결에 다가온 봄이 우리를 반깁니다. 모두의 일상에도, 추위를 견딘 각자의 마음에도 신선한 바람이 스며듭니다. 아랑곳하지 않는 찬바람에 때론 무력감을 느낄지라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살을 에는 추위를 버텨낸 마음은 결코 무력하지 않다는 것을.
봄을 맞이하는 마음의 문을 활짝 열어봅니다. 올봄, 우리의 마음을 한 겹 더 단단하게 감싸줄 1월과 2월의 신간 도서를 소개합니다.
섬세하고 사려 깊은 시선을 지닌 백수린 작가의 네 번째 소설집 『봄밤의 모든 것』이 출간됐습니다. 사랑하는 가족의 죽음, 연인과의 이별 등 일곱 편의 이야기 속에는 저마다의 상실을 지닌 화자들이 있습니다. 그들이 짙은 아픔을 지나 마침내 한 줄기 빛을 마주하는 순간을, 백수린은 ‘빛의 소설가’다운 특유의 필치로 그려냅니다.
잃어버린 것들의 공백과 남겨진 흔적이 마음을 짓누를 때가 있습니다. 겨울이 끝없이 지속될 것만 같은 절망에 빠질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백수린 작가는 우리에게 이야기합니다. ‘우리의 삶이, 이 세계가, 겨울의 한복판이라도 우리는 봄을 기다리기로 선택할 수 있다고. 봄이 온다고 믿기로 선택할 수 있다고.’
이 단단한 믿음이 모두에게 닿기를 바라며, 겨울 속에서도 희미하게 피어나는 봄의 감각을 느껴봅니다. 결국 찾아올 따뜻한 봄날을 그려봅니다. 연초록 잎새가 돋아나는 봄밤, 상실과 부재 앞에서 얼어붙은 마음들에게 『봄밤의 모든 것』을 건넵니다.
한국 소설 최초로 세계 3대 SF 문학상인 미국 필립 K. 딕상 후보에 오른 작품이 있습니다. 정보라 작가의 『너의 유토피아』는 2021년 출간된 『그녀를 만나다』의 개정판입니다.
표제작 <너의 유토피아>는 인류가 떠난 황량한 행성에서 고장 난 휴머노이드 314를 태운 스마트카의 끝없는 여정 이야기입니다. 어둡고 폭력적인 세상 속, 314는 계속해서 같은 질문을 던집니다.
“너의 유토피아는? 1부터 10까지.”
우리의 유토피아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더 나은 세계를 요구하며 상실을 애도하고 다시 전진하는 굳은 의지, 인간다움의 본질은 바로 여기에 있을지도 모릅니다.
『느리게 가는 마음』에서는 ‘생일’이라는 공통된 주제로 여덟 편의 따뜻한 이야기를 엮었습니다. ‘느리게 걷고, 느리게 보고, 느리게 생각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라는 윤성희 작가의 말처럼, 소설 전반에 느긋한 농담 같은 정서가 잔잔하게 흐릅니다.
빠름과 효율만을 미덕으로 여기는 사회가 유난히도 벅찰 때, 느림의 가치를 되새기고 싶을 때, 윤성희 소설의 세계에 함께 머물러봅시다. 느린 것 역시 속도가 될 수 있습니다. ‘느리게 가는 마음’에 스며든 여운은 깊고도 넉넉할 겁니다.
제48회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작으로 예소연의 <그 개와 혁명>이 선정됐습니다. 지난해 문학사상에서 다산북스로 주관사가 바뀐 후 나온 첫 번째 수상작인 만큼, 그 문학적 의미가 더욱 깊습니다.
<그 개와 혁명>은 1980년대 학생운동 세대와 2020년대 페미니스트 청년 세대가 뜻을 모아 함께 개판을 도모하는 광경을 그려내 ‘이데올로기를 압도하는 혁명적 사랑’이라는 찬사를 받으며, 동시대 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 대상 수상작 외에도 김기태, 문지혁, 서장원, 정기현, 최민우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한편, 김금희 작가는 국내 소설가 최초 남극 체류 여행기로 독자들을 찾아왔습니다. 주권도, 화폐도, 국경도 존재하지 않는 얼음의 땅, 세상의 끝! 남극은 오랜 시간 작가가 꿈꿔온 공간이었습니다.
한겨레 특별 취재기자 자격으로 약 한 달간 남극 세종기지에 머물며, 작가는 대자연 속 하나의 인간으로서 작고, 단순해지고, 겸손해지는 과정을 온몸으로 경험했습니다. 자연이 선사하는 압도적인 경이로움과 감동, 그 모든 순간의 기록이 『나의 폴라 일지』에 담겨 있습니다.
지나온 10대 시절을 회고하며 우리는 어떤 이야기를 남길 수 있을까요? 스무 명의 시인이 청소년을 위해 특별한 시집을 선물합니다. 『도넛을 나누는 기분』에는 표제작을 비롯해 <사랑받는 기분>, <여름 기분>, <쌀떡과 밀떡의 기분> 등 ‘기분’의 세계를 다룬 다채로운 시들이 실려 있습니다. 유희경 시인이 서문에서 말하듯, 시가 ‘내일의 내일의 내일로 가거나 내 키를 훌쩍 넘은 내 마음의 크기를 헤아려 보는 일’이기 때문일까요.
미처 말로 표현하지 못했던 감정과 순간들이 한 편의 시가 되어 다가옵니다. 친절하고 다감한 언어로, 평범하지만 그래서 더욱 특별했던 우리의 날들을 어루만집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청소년의 ‘기분’에 자유를 선물합니다.
첫 시집 『샤워젤과 소다수』를 통해 큰 사랑을 받은 고선경 시인이 더욱 솔직하고 묵직한 이야기로 돌아왔습니다. 변함없는 현실에도 씩씩하고 재치 있게 맞서려는 강한 마음이 깃든 시집, 『심장보다 단단한 토마토 한 알』입니다.
고선경은 ‘모르면서 안다고 말하는’ 것 또한 ‘다 마음’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상실의 연속인 삶일지라도, 내일을 맞이할 수 있다는 용기와 ‘우리가 살아서 나눠 가진 아름다움’을 ‘심장보다 단단한 토마토 한 알’(<폭설도 내리지 않고 새해>)에 담아 건넵니다.
단단한 마음이 필요한 우리에게, ‘시인의 말’을 전합니다.
“아삭아삭할 겁니다.
겨울을 견뎌 본 심장이라서요.”
More Content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