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WAVE is constantly striving to introduce global readers to a diverse range of Korean literary works. The following titles, published in November and December 2024, were selected among works featured on the Kyobo Book Centre’s “Book of the Month” and Aladin’s “Magician’s Choice” lists.」
We are suddenly struck by a strange yet familiar scent as we walk down the street absentmindedly. Rushing in from who knows where, a biting wind heavy with the smell of winter has found its way to us. The cold makes us hunch and stirs our hearts, still unprepared to face the new season. But instead of urging ourselves to toughen up, we firmly resolve to embrace the wounds we carry within us. And as we wait for the passing of the frigid season and spring’s triumphant return, we reflect on the meaning of “solidarity.”
The new Korean literature releases from November and December 2024 selected by KLWAVE include two poetry collections, one essay collection, and a special edition book set featuring three novels by Han Kang along with some of the author’s very own handwritten notes. Beyond acknowledging, understanding, and showing empathy — it’s about embracing and tending to each other’s wounds. Striving for a future rooted in solidarity. We believe that’s where the beauty of all that is fragile lies.
Praised for her “intense poetic prose that confronts historical traumas and exposes the fragility of human life,” Han Kang’s time to shine has finally come. No discussion of winter 2024 would be complete without mentioning her Nobel Prize in Literature. As the cool spring air meets with the gradually warming rays of the sun, now is the ideal time to reflect on Han Kang’s remarkable journey.
In her Nobel Prize lecture, titled “Light and Thread,” Han Kang confessed that “being able to dwell between very important and urgent questions” was in itself worth more than any novel she ever wrote or the time it took her to write it. She explained how, after wrestling with countless questions and emerging from the creative process, she found herself transformed, and how this transformation would naturally carry her into her next work. This is why Han Kang’s novels are best understood as part of a continuum linking past, present, and future.
The Han Kang Special Edition Book Set brings together three of her novels — I Do Not Bid Farewell, The White Book, and Black Deer — along with a limited-edition copy of some of the author’s handwritten notes. Including her debut novel, an autobiographical work she recommended in a recent interview, and her latest title, this three-book set invites readers on a special journey into Han Kang’s literary universe. As we follow the traces of her writing, we find that all the questions she has explored ultimately lead back to a single word: love. Carrying us forward into the next season, this word lets us picture the world we are bound to reach — one filled with love.
“The winter traveler trusts their journey more than the summer traveler / Walking on a frozen path beneath cold stars / They know that they are bound to reach spring […] This is why the poet writes not for the summer traveler but the winter traveler, for the traveler who walks not through the day but through the night” (Excerpt from I Got by Fine Without Poetry Before Meeting You)
In his latest work, poet Ryu Shiva presents 93 new poems for the winter traveler braving an especially cold season. There is something both absurd and endearing in the idea that poetry exists because of the existence of a “you,” with each poem holding the quiet promise of being revisited time and again between the one who writes it and the one who reads it.
Ryu Shiva’s latest poetry collection, I Got by Fine Without Poetry Before Meeting You, continues to explore the complex emotional dimensions of love by building on his previous works such as I Miss You Even Though You Are Next to Me, The Love of the One-Eyed Fish, and Love as If You’ve Never Been Hurt Before. This title invites readers to fully embrace the possibilities inside them and imagine a new tomorrow, regardless of who they are.
If we could exist alone, what need would there be for poetry? Through this work, readers may come to realize that the condition for their own existence may be rooted in the existence of others.
Sorrow is something we all carry, though its weight is different for each of us. At times, it can feel unbearably miserable and lonely, but healing becomes possible when we acknowledge each another’s wounds and extend a comforting hand. Lee Seokwon, who touched many readers with his heartfelt confessions in An Ordinary Being and Words That Are Always Good to Hear, returns with a poignant exploration of the sorrow that accompanies family partings. He asks the question — isn’t life filled with moments that strike without warning only to shatter our world and uproot our existence?
Time begins to flow differently for each family member after their father suddenly falls ill. As they silently witness the slow but inevitable approach of an uncertain farewell, they cannot help but be reminded of the void within themselves. We carefully recommend this book to anyone who may be grieving an “unexpectedly long day,” perhaps even blaming themselves for whatever has unfolded. Our hope is that by stepping into the life of another, they may come to understand the shape of their own sorrow.
No matter what emotions fill the hours of daylight, night never fails to come. Even faced with snow deep enough to swallow their every step, there are those who press forward with their gaze fixed ahead.
Kim Yi-deum’s ninth poetry collection, Doesn’t Everyone Write Masterpieces at Night, embraces those who are restless and imperfect. Following the poet’s gaze, which brings into focus the small, overlooked figures standing at the margins of society, readers are led to realize that “the place where we’ve come from, which we’ve long forgotten” (“Black Ice”) might in fact hold the promise of a new destination. The poet reminds us that as long as we keep moving forward in life, we are bound to encounter love along our path.
This is why we don’t have to be at the mercy of misfortune, even when sorrow threatens to swallow our lives. Although “storms may strike that land from time to time [...] may your world always feel like spring despite the crashing waves.” (“Spring-Oido”)
Translated by Leo-Thomas Brylowski
Leo-Thomas Brylowski is a freelance translator based in Seoul. His translation of a short story by author Lee Kiho earned him the Grand Prize at the 2019 Modern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Awards, and he is the recipient of a LTI Korea grant for the translation of a novel by up-and-coming author Park Young which he aims to get published in the near future. His translations have appeared in a number of literary journals and magazines, and a co-translation of a poetry collection by prominent poet Kim Haengsook entitled Human Time is forthcoming at Black Ocean in 2023.
「KLWAVE에서는 해외 독자들에게 다양한 한국문학 작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중 신간 소개 콘텐츠는 2024년 11월, 12월에 출간된 도서 가운데 교보문고의 ‘이달의 책’과 알라딘의 ‘마법사의 선택’에 게재된 것들을 선별하여 작성합니다.」
무심코 걷던 길 위에서 낯설고도 낯익은 향을 감각합니다. 어디서부터 불어오는지 모를 날카로운 바람은 겨울 냄새를 잔뜩 머금은 채 용케도 이곳까지 불쑥 찾아왔습니다. 추위에 움츠러든 어깨가 채 무장하지 못한 마음을 부추기는 계절. 지금은 물러질 때가 아니라며 다그치는 대신 우리 안의 상처를 보듬어 주겠노라고 기꺼이 다짐해 봅니다. 추운 계절이 지나고 나면 보란 듯이 돌아올 봄날을 기다리며, ‘연대’에 대해 생각합니다.
11월과 12월의 한국문학 신간 도서는 두 권의 시집과 한 권의 수필집, 그리고 한강 작가의 소설과 필사노트를 엮은 스페셜 에디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지나 이해, 공감의 차원을 넘어서서 서로의 상처를 끌어안고 돌보는 것. 연대하는 미래. 모든 약한 것들의 미학은 바로 그 지점에 있다고 믿습니다.
“역사적 트라우마를 정면으로 마주하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내는 강렬하고 시적인 산문”이라는 평과 함께, 바야흐로 한강의 시대가 도래했다. 누구라도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을 빼놓고는 감히 2024년 겨울을 논할 수 없을 테다. 시린 공기 중에도 은근하게 느껴지는 모처럼의 볕이 유난히 따뜻한 계절, 한강이 지나온 순간들을 어렴풋이 이어 본다.
노벨상 수상 기념 강연 <빛과 실>에서 그는 ‘아주 중요하고 절실한 질문들 사이에 머무를 수 있었던’ 것만으로 소설의 탄생과 한동안의 삶을 맞바꿀 만한 가치가 충분했다고 고백한 바 있다. 그렇게 숱한 질문들에 붙들려 한 차례의 창작 과정을 견뎌내고 나면, 그 사이 변화된 자기 자신이 또 다른 작품으로 맞물려 포개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강의 작품들이 과거-현재-미래로 연결되는 시간성의 개념 안에 읽혀야 할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한강 스페셜 에디션’은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 『흰』, 『검은 사슴』 세 작품에 한정판 필사 노트를 덧붙여 출간되었다. 작가의 첫 장편작부터 최근 인터뷰에서 직접 독서를 권한 자전소설, 그리고 최신작까지. 한강의 문장들이 쓰인 흔적을 따라 찬찬히 음미하며, 그가 초대하는 특별한 여정에 기꺼이 동참하길 권한다. 결국에는 사랑이라는 한 단어로 귀결되고야 말 그 모든 질문들이 우리를 다음 계절로 이끌 것이다. 마침내 다다를 사랑의 세계를 그려 본다.
‘겨울 여행자는 여름 여행자보다 더 자신이 가고 있는 방향을 신뢰한다 / 차가운 별 아래 얼어붙은 길 걸어 어느 곳으로 나아가든 / 마침내는 봄에 다다를 것임을 알기에 (중략) 그래서 시인은 여름 여행자보다 겨울 여행자에게 낮의 여행자보다 밤의 여행자에게 시를 적어 보낸다.’ (<『당신을 알기 전에는 시 없이도 잘 지냈습니다』 서시>)
유달리 추운 계절을 부단히도 건너가는 겨울 여행자에게, 류시화 시인의 신작 시 93편을 건넨다. 시의 존재 이유가 ‘당신’에게서 비롯된다는 이 허무맹랑하고도 애틋한 믿음은, 고작 시 한 편이더라도 쓰는 얼굴과 읽는 얼굴 사이에서 몇 번이고 다시 읽힐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품어보게 만든다.
그간 『그대가 곁에 있어도 나는 그대가 그립다』, 『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 『사랑하라 한 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 등을 펴낸 류시화의 시 세계를 이어받아 사랑의 정동을 담아낸 새 시집 『당신을 알기 전에는 시 없이도 잘 지냈습니다』가 출간되었다. 그의 시집을 읽으며 ‘당신’이란 가능태를 있는 힘껏 끌어안고 내일로 가는 상상을 한다. 당신이 무엇이든지 전혀 상관할 필요 없다는 듯이.
우리가 홀로 존재할 수 있다면 시는 과연 어인 까닭에 필요하단 말인가. 이젠 어쩐지 ‘나’의 전제 조건이 바로 당신의 존재라는 것을 믿어볼 수 있을 것도 같다.
사람들에게는 모두 저마다의 슬픔이 있다. 각자 다른 슬픔을 지고 살아가는 일은 때때로 더없이 비참하고 외로운 일이겠으나, 서로의 상처를 응시하며 기어이 다독임으로 나아갈 때 치유의 가능성은 비로소 탄생하는 것일 테다. 『보통의 존재』, 『언제 들어도 좋은 말』에서 진솔한 고백으로 세간의 주목을 받은 이석원이, 이번에는 가족과의 이별을 주제로 더없이 구체적인 ‘슬픔의 모양’에 대해 이야기한다. 기척도 없이 찾아와 단숨에 세상을 무너뜨리곤 존재 자체마저 송두리째 뒤흔들어버리는 사건은, 우리 삶에도 무척이나 빈번히 등장하지 않는가.
갑작스러운 아버지의 병세를 기점으로 가족의 시간은 저마다 다르게 흐르기 시작한다. 기약 없는 이별 앞에 마주하는 날마다의 변화를 묵묵히 지켜보고 있노라면 어딘가 닮아 있는 나의 결핍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계획에 없던 긴 하루’를 앞에 두고 상심하고 있을, 어쩌면 지금 이 순간에도 죄다 제 탓으로 돌리기 바쁠 누군가에게 이 책을 조심스레 건네 본다. 지극히도 ‘타인’의 삶을 들여다보며 형체 없던 슬픔의 모양을 가늠해 보기를.
해가 떠 있는 동안 오고간 모든 마음들을 뒤로하고 어김없이 밤은 찾아온다. 내딛는 걸음마다 발이 푹푹 빠지는 눈밭에서도, 딱 한치 앞에 시선을 고정한 채 우직하게 걸어가는 이들이 있다.
김이듬의 아홉 번째 시집 『누구나 밤엔 명작을 쓰잖아요』는 어딘가 불안하고 불완전한 존재들을 있는 힘껏 껴안는다. 변두리에 서 있는 자그마한 존재들을 뚜렷하게 조명하는 시인의 시선을 좇다 보면 ‘우리가 어디에서 왔는지 까마득히 모를 곳’(<블랙 아이스>), 아득하게 먼 땅마저도 새로운 도착점이 될 수 있을 것만 같아진다. 살아 있는 한 우리는 발걸음을 계속해서 옮기게 될 거라고, 그 길 위에서 우리는 우리의 방식대로 사랑을 찾게 될 거라고 시인은 다독인다.
그러므로 우리는 결코 불운하지 않다. 온갖 비애가 우리 삶을 집어삼키려 할지라도 말이다. ‘때때로 그 나라에도 폭풍우 치겠’으나, ‘당신의 세상은 물결쳐 오는 파도 너머 봄날 같기를’(<봄-오이도>).
More Content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