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번역원 로고

TOP

Curation

Rising Above the Scars of History scrap download

역사의 상흔을 넘어

스웨덴 한림원이 202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한강(54)을 선정하면서 언급한 작품은 모두 9종(단행본 기준, 단편으로 ‘에우로파’도 언급됐다)이다. “역사적 트라우마를 정면으로 마주하고 인간 삶의 유약함을 드러내는 강렬하고 시적인 산문”이 한강 작품에 대한 총평이다. 틀린 평가일 수 없다. 그러나 충분하지 않다. 작중 ‘사람’이 눈사람이 되고(단편 ‘눈 한 송이가 녹는 동안’·2015) 식물이 되고(단편 ‘내 여자의 열매’·1997, 장편 <채식주의자>·2007), 죽은 이가 말하고(<소년이 온다>·2014), 죄다 잊혀진 이들과 새삼 작별하지 못한다(<작별하지 않는다>·2021)니? 이처럼 불가역의 물리를 가역적 사태로 뒤집는 것은 단순한 ‘시적 산문’이 아니라, 전반의 ‘시적 서사’요, ‘시린 겨울’에서 벼려낸 ‘시어’라 해야겠다. 시적 서사와 그 시어로 한강은 육신과 영혼, 생과 사의 경계를 미학적으로 탐찰하고 있다.


한강은 또한 개인과 정치, 즉 개인과 역사는 분리될 수 없다고 말한다. 해외엔 덜 소개된 한강의 첫 장편 <검은 사슴>(1998)때부터 확인되는 바다. “나는 어두운 골짜기에서 태어났”다고 말하는, 그 ‘어둠’의 삶에서 벗어나려 발버둥쳤던 여성이 주인공이다. 지극히 개인적 면모를 들춰 인간 생래의 고통을 좇는 이 소설의 배경이 어디이던가. “농촌에서 쫓겨나고 도시빈민지역에서도 밀려난 사람들이 마지막 선택으로 남겨두웠던 도시” “사고로 죽고, 사고로 안 죽으면 진폐로 죽고” 그렇게 “죽을 만큼 부려먹다가 필요 없게 되었으니 아무런 대책 없이 쫓아내버”려진 이들의 터, 강원도 가상의 한 폐광촌이다. 1970년대 산업 역군에서 80년대 청산 대상이 되어버린 ‘탄광 막장’이 바로 주인공의 새까만 내면의 고향인 것이다. 한국 역사는 당시 저항에 나섰던 노동자와 그 가족들이 군사정부에 의해 고문, 조작 수사되어 옥살이까지 해야 했다고 적고 있다. 그처럼 한국 현대사를 할퀸 공동체의 상처를 ‘증언’하는 한국의 작가들은 한강 말고도 많다. 한강의 노벨상은 그런 한국 작품이 더 많이 호명될 필요성을 말한다. 냉전의 마지막 전장, 유일의 분단국, 유엔의 원조를 받던 최빈국에서 21세기 도약한 선진국이라는 작은 반도에서 불행히도 ‘비극’과 ‘참사’는 끊이지 않았고, 그 앞에서 ‘무엇이 인간이게 하는가’ 묻는 문학 또한 계속되어 왔기 때문이다.

More Content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