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a survey conducted by LTI Korea on social media, “Literature that Allows You to Experience Korea” has been selected as the theme in Korean literature that readers desire to know the most. For those who want to learn more about attractions, food, and culture in Korea, KLWAVE has prepared its first series: “Seoul in K-Literature.” This series capture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Seoul, and in this particular section, we introduce some Korean literary works that stage the past appearance of Seoul.
Park Taewon / A Day in the Life of Kubo the Novelist / Moonji Publishing Co. (Korea) / 2009
A Day in the Life of Kubo the Novelist shows how a day spent wandering around the streets of Seoul can teach you so much about a person’s life. Much like Virginia Woolf’s Mrs. Dalloway which tightly showcases the landscape of London in a single day, A Day in the Life of Kubo the Novelist richly presents the overall landscape of Seoul through a day of a person. The scenery of Seoul depicted by an observant novelist with meticulous attention is beautiful yet fascinating.
Park Wansuh / The Naked Tree / Segyesa (Korea) / 2012
The Naked Tree tells the story of a family living with a trauma from the Korean War. The mother of the protagonist leaves her home in the countryside and moves to Seoul with a single goal in mind: to successfully raise her children in Seoul. There, she ekes out a meager living for the family, but much against her wish, the protagonist and her brothers aren’t given the happiest lives. The protagonist finds hope in life, however, when she meets a painter who makes beautiful paintings despite the tragedies of the war. Na-mok, the original Korean title of The Naked Tree, means bare tree with no leaves and only branches remaining.
Kim Seongok / Seoul-1964-Winter / Moonji Publishing Co. (Korea) / 2019
“Seoul-1964-Winter” shows the landscape of Seoul during the early stage of industrialization. The coincidental encounter between three male characters in the story serves as an opportunity for them to share their feelings of anxiety and loneliness, but it fails to prevent the tragic incident that happens to one of them at the end. The novel carefully yet strategically maps the complex psychology of the people in Seoul during this particular period and the deepening anxiety and loneliness they experience as rapid industrialization continues.
Kim Aeran / Run, Daddy, Run / Changbi Publishers Inc. (Korea) / 2019
“I Go to the Convenience Store” featured in Run, Daddy, Run tells the story of young people living in Seoul who stop by convenience stores every day to buy various types of snacks and products. Seoul is known as the city with the highest number of 24-hour convenience stores in the world, and those who make daily visits to one of these stores located everywhere in the capital and the wealthiest city of South Korea may initially be given the relief that they are, indeed, the “Seoulites.” However, the novel poignantly yet realistically portrays that these people, in truth, maybe the ones leading some of the most unstable and loneliest lives.
Jeong Yihyeon / My Sweet Seoul / Moonji Publishing Co. (Korea) / 2006
My Sweet Seoul is about a young woman living in Seoul with hopes for love, marriage, friendship, and success, but who often faces disappointment and loneliness on the way, showing what the reality looks like. Likewise, everyone dreams of launching a successful career or having a romantic love story in their life. Much like a coming-of-age novel, however, My Sweet Seoul teaches readers through the protagonist’s journey that no one can ever be fully satisfied at work or in relationships, and that no matter how much one tries, there will always be things that remain unobtainable. The abundance of culture, consumerism, and materialism governing the city of Seoul is well depicted in this novel.
Written by Jeong Yeoul
The host of “Jeong Yeo-ul’s Library” on KBS Radio.
Currently active on channel “Salon de Muse” on Naver Premium Contents. The host of “Monthly Jeong Yeo-ul” on Naver Audio Clip.
The author of Literature O’clock, To Me Not Taking Care of Me, The Use of Travelling, The Right to Study, Top 10 Places I Loved in Europe, Things I Wish I Had Known Back Then, Vincent, My Vincent, The Road to Hesse, and An Introverted Traveller.
Jeong Yeo-ul’s book, One Short Psychology Class a Day has been translated into Vietnamese and Chinese; Even Your Scars are Beautiful into Indonesian; and The Courage to Finish a Story into Chinese.
Translated by Jenny Chang
Jenny Chang is a freelance translator currently based in Seoul. A Korean diaspora who was mostly raised in Canada, she graduated from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with a B.A. in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completed her study at the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While actively pursuing her career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education for five years, Jenny came to find value in languages and their pivotal role in promoting a cordial understanding between different cultures.
한국문학번역원 소셜 미디어 투표를 통해 독자들이 가장 알고 싶은 한국문학 콘텐츠 주제로 “한국을 경험할 수 있는 작품”이 선정되었습니다. 한국의 명소, 음식, 문화 등에 대해 알고 싶은 독자 들을 위해 KLWAVE가 준비한 첫번째 콘텐츠는 “서울이 소개되는 한국문학” 입니다. 서울의 과거, 현재, 미래의 모습을 담은 시리즈물로 이번에는 서울의 과거 모습을 담고 있는 한국문학 작품을 소개합니다.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문학과지성사(한국), 2005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하루동안 서울을 산책하는 일이 곧 한 사람의 인생을 보여줄 수도 있는 방법임을 보여준다. 마치 버지니아 울프의 <댈러웨이 부인>이 하루동안 런던의 압축적인 풍경을 보여주는 것처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한 사람의 하루를 통해 서울 전체의 압축적인 풍경을 풍요롭게 보여준다. 소설가의 날카로운 관찰력으로 묘사해낸 서울의 풍경은 매혹적이면서도 아름답다.
박완서, <나목>, 세계사(한국), 2012
<나목>은 한국전쟁의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가는 한 가족의 이야기를 보여준다. 여주인공의 어머니는 시골에서 살다가 서울로 이사 오면서 어떻게든 ‘내 아이를 서울에서 키우겠다’는 일념 하나로 가난한 살림을 책임졌지만, 아들과 딸은 어머니의 꿈처럼 행복하지 못했다. 전쟁의 상처를 딛고 아름다운 그림을 그리는 화가와의 만남을 통해 여주인공은 삶의 희망을 얻는다. 제목인 ‘나목’은 ‘잎이 지고 가지만 앙상히 남은 나무’라는 뜻이다.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 문학과지성사(한국), 2019
<서울 1964년 겨울>은 이제 막 본격적인 산업화가 시작될 무렵 서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세 남자의 우연한 만남은 그들의 외로움과 불안에 대해 서로 공감하는 계기가 되지만, 그 중 한 남자의 비극적인 결말을 막지는 못한다. 급속한 산업화가 지속될 수록 더 깊은 불안과 외로움을 느끼는 서울 사람들의 복잡한 심리를 섬세하고 치밀하게 보여주고 있다.
김애란, <달려라 아비>, 창비(한국), 2019
<달려라 아비>에 수록되어 있는 “나는 편의점에 간다”는 매일 편의점에 가며 음식을 비롯한 각종 상품을 소비하며 살아가는 서울의 젊은이들에 관한 이야기다. 서울은 세계적으로 24시간 편의점이 가장 많이 존재하는 도시인데, 그토록 흔한 편의점에 매일 들른다는 것은 처음에는 ‘나는 서울 사람’이라는 안도감(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고, 가장 풍요로운 도시라는 점에서)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편의점에 매일 가는 사람들은 가장 외롭고 불안한 삶을 살아갈 수도 있다는 것을 가슴 아프면서도 리얼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정이현, <달콤한 나의 도시>, 문학과지성사(한국), 2006
<달콤한 나의 도시>는 서울에 살고 있는 젊은 여성이 사랑과 결혼, 우정과 성공에 대한 희망을 품고 살아가지만 자주 좌절하고 외로워하는 모습을 솔직하게 보여준다. 모두들 화려한 성공과 달콤한 사랑을 꿈꾸지만, 직장에서도 연애에서도 완전한 만족을 얻지 못하는 모습, 아무리 노력해도 가질 수 없는 것이 있다는 것을 깨닫는 과정이 청춘의 성장소설처럼 다가온다. 서울의 온갖 화려한 문명, 상품, 소비를 향한 유혹이 잘 묘사되어 있다.
정여울 집필
KBS라디오 '정여울의 도서관' 진행자.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살롱드뮤즈' 연재. 네이버 오디오클립 '월간 정여울' 진행자.
<문학이 필요한 시간>, <나를 돌보지 않는 나에게>, <여행의 쓸모>, <공부할 권리>, <내가 사랑한 유럽top10>, <그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빈센트 나의 빈센트>, <헤세로 가는 길>, <내성적인 여행자>, 저자. 정여울의 책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심리수업>는 베트남어와 중국어로, <상처조차 아름다운 당신에게>는 인도네이사어로, <끝까지 쓰는 용기>는 중국어로 번역되었다.
Introduced Original Works 원작
More Content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