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uration
Seoul in K-Literature: The Past Edition
서울이 소개되는 한국문학: 과거편
한국문학번역원 소셜 미디어 투표를 통해 독자들이 가장 알고 싶은 한국문학 콘텐츠 주제로 “한국을 경험할 수 있는 작품”이 선정되었습니다. 한국의 명소, 음식, 문화 등에 대해 알고 싶은 독자 들을 위해 KLWAVE가 준비한 첫번째 콘텐츠는 “서울이 소개되는 한국문학” 입니다. 서울의 과거, 현재, 미래의 모습을 담은 시리즈물로 이번에는 서울의 과거 모습을 담고 있는 한국문학 작품을 소개합니다.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문학과지성사(한국), 2005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하루동안 서울을 산책하는 일이 곧 한 사람의 인생을 보여줄 수도 있는 방법임을 보여준다. 마치 버지니아 울프의 <댈러웨이 부인>이 하루동안 런던의 압축적인 풍경을 보여주는 것처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한 사람의 하루를 통해 서울 전체의 압축적인 풍경을 풍요롭게 보여준다. 소설가의 날카로운 관찰력으로 묘사해낸 서울의 풍경은 매혹적이면서도 아름답다. 박완서, <나목>, 세계사(한국), 2012 <나목>은 한국전쟁의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가는 한 가족의 이야기를 보여준다. 여주인공의 어머니는 시골에서 살다가 서울로 이사 오면서 어떻게든 ‘내 아이를 서울에서 키우겠다’는 일념 하나로 가난한 살림을 책임졌지만, 아들과 딸은 어머니의 꿈처럼 행복하지 못했다. 전쟁의 상처를 딛고 아름다운 그림을 그리는 화가와의 만남을 통해 여주인공은 삶의 희망을 얻는다. 제목인 ‘나목’은 ‘잎이 지고 가지만 앙상히 남은 나무’라는 뜻이다.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 문학과지성사(한국), 2019 <서울 1964년 겨울>은 이제 막 본격적인 산업화가 시작될 무렵 서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세 남자의 우연한 만남은 그들의 외로움과 불안에 대해 서로 공감하는 계기가 되지만, 그 중 한 남자의 비극적인 결말을 막지는 못한다. 급속한 산업화가 지속될 수록 더 깊은 불안과 외로움을 느끼는 서울 사람들의 복잡한 심리를 섬세하고 치밀하게 보여주고 있다. 김애란, <달려라 아비>, 창비(한국), 2019 <달려라 아비>에 수록되어 있는 “나는 편의점에 간다”는 매일 편의점에 가며 음식을 비롯한 각종 상품을 소비하며 살아가는 서울의 젊은이들에 관한 이야기다. 서울은 세계적으로 24시간 편의점이 가장 많이 존재하는 도시인데, 그토록 흔한 편의점에 매일 들른다는 것은 처음에는 ‘나는 서울 사람’이라는 안도감(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고, 가장 풍요로운 도시라는 점에서)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편의점에 매일 가는 사람들은 가장 외롭고 불안한 삶을 살아갈 수도 있다는 것을 가슴 아프면서도 리얼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정이현, <달콤한 나의 도시>, 문학과지성사(한국), 2006 <달콤한 나의 도시>는 서울에 살고 있는 젊은 여성이 사랑과 결혼, 우정과 성공에 대한 희망을 품고 살아가지만 자주 좌절하고 외로워하는 모습을 솔직하게 보여준다. 모두들 화려한 성공과 달콤한 사랑을 꿈꾸지만, 직장에서도 연애에서도 완전한 만족을 얻지 못하는 모습, 아무리 노력해도 가질 수 없는 것이 있다는 것을 깨닫는 과정이 청춘의 성장소설처럼 다가온다. 서울의 온갖 화려한 문명, 상품, 소비를 향한 유혹이 잘 묘사되어 있다. 정여울 집필 KBS라디오 '정여울의 도서관' 진행자.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살롱드뮤즈' 연재. 네이버 오디오클립 '월간 정여울' 진행자. <문학이 필요한 시간>, <나를 돌보지 않는 나에게>, <여행의 쓸모>, <공부할 권리>, <내가 사랑한 유럽top10>, <그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빈센트 나의 빈센트>, <헤세로 가는 길>, <내성적인 여행자>, 저자. 정여울의 책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심리수업>는 베트남어와 중국어로, <상처조차 아름다운 당신에게>는 인도네이사어로, <끝까지 쓰는 용기>는 중국어로 번역되었다. -
Curation
드라마화 된 K-소설
En l’espace de quelques années, le terme de « drama-seller » (romans devenus des best-sellers grâce aux dramas) a connu une fortune étonnante. Cela faisait déjà des décennies que films, dramas, et autres productions cinématographiques étaient fréquemment adaptés d’œuvres littéraires, mais il était rare jusqu’alors de leur voir exercer une telle influence sur le marché du livre. Avec le succès grandissant du secteur des webtoons (BD en ligne), le nombre d’adaptations auxquelles ils donnent lieu ne fait qu’augmenter ; les romans restent néanmoins un abondant vivier d’histoires pour les scénarios. Les temps sont révolus désormais où seuls les romans d’amours se prêtaient aux adaptations cinématographiques : avec les progrès de l’infographie, même des genres comme les thrillers ou la science-fiction (notamment les voyages dans le temps) peuvent être adaptés en séries télévisées – et le succès est au rendez-vous. Lire des romans coréens, c’est obtenir en quelque sorte un aperçu des dramas de demain. À l’heure où les plateformes de streaming internationales comme Netflix facilitent la diffusion des histoires coréennes dans le monde entier, la littérature de Corée semble destinée à éveiller l’intérêt d’un nombre croissant de créateurs. On peut s’attendre à ce que l’expansion du marché des productions cinématographiques aille de pair avec une importance grandissante de la littérature coréenne. Joo Youngha, "La bataille du bonheu", Gozknock Entertainment (Corée), 2023 Le drama Sky Castle, qui a connu un succès sans précédent, montre de manière provocatrice toute l’obsession de la société coréenne pour la réussite scolaire, ainsi que les dérives sociales qui en résultent. On retrouve ce côté provocateur, encore exacerbé, dans le roman(traduit en français sous le titre Plus heureuse que moi, tu meurs) de Joo Youngha : l’auteur nous donne à voir une véritable compétition de bonheur entre des personnages qui en ont pourtant à revendre. Les armes de ce combat ? Les plus terrifiantes qui soient : les réseaux sociaux. Dans la tour d’immeuble la mieux cotée de Gangnam, High Prestige, Kang Do-jun est retrouvé un couteau planté dans le dos, à moitié mort ; le cadavre de sa femme Oh Yu-jin est suspendu à la balustrade du balcon. Jang Mi-ho reconnaît dans la victime de cette affaire une amie d’enfance, avec qui elle a perdu contact depuis dix-sept ans. Inséparables au lycée, les deux femmes se sont éloignées suite à un incident. Poussée par la culpabilité, Mi-ho décide d’enquêter sur la mort de son amie. Elle découvre que Yu-jin s’est livrée à une « bataille de bonheur » sur les réseaux sociaux avec d’autres mères envoyant leurs enfants dans une école maternelle de langue anglaise. Au fur et à mesure qu’elle démêle l’écheveau, Mi-ho révèle une terrible vérité. Lee Hyuk-jin, "Comprendre l’amour", Mineumsa (Corée), 2019 "Comprendre l’amour" de Lee Hyeok-jin explore avec panache la question de l’amour à travers un filtre rarement utilisé dans ce type de romans : l’argent et les classes sociales. L’histoire tourne autour de quatre personnages qui travaillent dans une banque, chacun d’une origine sociale différente : une employée en CDI, fille unique d’une famille riche, un autre employé en CDI d’origine modeste mais sorti d’une université de renom, une employée en CDD qui n’a pas fait d’études, et un agent de sécurité rêvant de devenir policier. Ce ne sont pas les sentiments du cœur qui régissent leurs relations amoureuses, mais bien plutôt les questions de milieu social et de profession. Ce roman décrit dans toute sa variété la gamme des émotions qui font l’amour : l’excitation et l’euphorie, certes, mais aussi les affres de la conscience, les sentiments d’infériorité, l’orgueil, la jalousie, l’envie. Une approche originale qui a su séduire les lecteurs. Une chose est sûre : il faudra attendre longtemps avant qu’une œuvre littéraire ne soit transposée au petit écran avec un tel brio. San Kyung, "Reborn rich", Terracotta (Corée), 2022 Bien des téléspectateurs ignoraient que le drama "Reborn rich", sans doute le plus grand succès de l’année 2022, fût tiré d’un roman. Le websoseol (roman en ligne) de San Kyung, qui ne fait pas moins de cinq volumes dans sa version papier, a joui d’une immense popularité lors de sa parution en ligne, en 2017. On peut résumer l’histoire de façon très simple, d’après le schéma classique des « romans de réincarnation » : un employé d’une multinationale coréenne, ayant passé treize ans de sa vie à faire la sale besogne pour la famille à la tête de l’entreprise, meurt sous le coup d’une accusation injuste. Réincarné dans la personne du plus jeune petit-fils de la famille qui a causé sa mort, il mène un combat solitaire pour se venger en mettant la main sur toutes les possessions du groupe. Mais le roman a su allier le genre fantastique à la description extrêmement réaliste de chaque personnage : c’est sans doute là que réside le secret de son immense succès. Incidents, conspirations, stratagèmes et conflits de l’ombre se succèdent dans une tension permanente et viennent rythmer la lutte entre les héritiers de ce clan dont la richesse et le pouvoir démesurés ne sont pas sans évoquer la famille Samsung : une fois qu’on a ouvert ce livre, impossible de le reposer. Kim Jinyoung, "Une maison avec jardin", Elixir (Corée), 2018 "Une maison avec jardin" raconte la rencontre fortuite de deux femmes et l’effet rédempteur qu’elle produit. Juran est femme au foyer et semble posséder la famille parfaite : un mari médecin, et un fils aussi beau qu’intelligent. Elle déménage dans une maison de rêve, mais remarque dans le jardin une drôle d’odeur, qui va devenir l’élément déclencheur de toute une série d’événements. Quant à l’autre femme, Sangeun, sa vie est à l’opposé : elle est accablée par la pauvreté et les violences conjugales. Lorsqu’elle parvient enfin à se tirer des griffes de son mari, elle est acculée par la police : c’est en rencontrant Juran par hasard qu’elle trouve le moyen d’échapper à ce piège. Le roman suit le cheminement de deux femmes qui n’ont rien en commun ; mais s’il parvient à maintenir la tension jusqu’à la dernière page, c’est qu’il adopte également la structure d’un roman policier, sur la piste d’un meurtrier. Le drama tiré du roman est une œuvre de haute volée, d’une beauté expérimentale rarement atteinte sur le petit écran en Corée : à ne pas manquer. Chung Han-Ah, "Une étrangère si familière", Munhakdongne (Corée), 2017 Grâce au succès du drama Anna, le roman "Une étrangère si familière" est devenu contre toute attente un immense best-seller, plus de cinq ans après sa parution. L’histoire est centrée sur un personnage problématique : « Lee Yumi », devenue éditrice du journal des étudiants dans une université qu’elle n’a pas réussi à intégrer, enseignante de piano alors qu’elle n’avait jamais mis les pieds dans une école de musique, et médecin sans le moindre diplôme. Elle a également été l’épouse de trois hommes différents, et le mari d’une femme. Le narrateur, un romancier ayant renoncé à l’écriture, ressent une curiosité grandissante pour la vie de « Lee Yumi » : son enquête l’amène à reprendre la plume. Contrairement au drama, où le rôle principal, joué par Suzy, est celui de cette Lee Yumi qui vit sous le masque d’« Anna », le roman adopte le point de vue du narrateur romancier qui cherche à retracer la vie de cette femme mystérieuse. Le roman donne du relief aux multiples facettes de ce personnage à la vie truffée de mensonges : on pourrait y voir la satire de l’homme moderne, dans une époque où chacun vit derrière un masque, pris au piège du regard des autres et du souci de sa propre image. Kim Seulgi Journaliste dans la rubrique sport et culture du journal économique Maeil, Kim Seulgi est depuis 2012 responsable du domaine de la littérature et de l’édition ; elle rédige des articles de critique littéraire pour présenter les œuvres coréennes. Traduit par Irène Thirouin (https://klwave.or.kr/klw/translators/133/IrèneThirouin/translatorsView.do) Ancienne élève de l’ENS de Paris et du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à Séoul, Irène Thirouin-Jung est traductrice littéraire du coréen et spécialiste des transferts culturels entre la France et la Corée. Maisons d’éditions, agences littéraires et éditeurs peuvent consulter les informations concernant les droits d’auteur en cliquant sur le lien suivant : https://klwave.or.kr/klw/rights/43/publishersView.do -
Curation
독자들의 뜨거운 사랑이 여전한 힐링 소설! 감동과 위로가 가득한 2023년 2분기 한국문학 베스트셀러를 만나보세요.
「KLWAVE에서는 해외 독자들에게 다양한 한국문학 작품을 소개하는 콘텐츠를 게재하고 있습니다. 이번 연도에는 한국문학 베스트셀러 작품들을 분기별로 소개합니다. KLWAVE의 2분기 베스트셀러는 2023년 4월부터 6월까지 국내 서점 두 곳과 한국도서관협회에서 제공하는 인기대출순위(4~6월)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였습니다.」 지난 분기와 마찬가지로 ‘힐링 소설’의 인기는 계속된다. 오래 전 출간됐지만 재조명된 작품부터 현재 문학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젊은 작가들을 만나볼 수 있는 수상작품집까지 다양한 도서들이 주목을 받았다. ‘불편한 편의점’의 아성은 무너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지난 분기에 이어 이번 분기 역시 김호연 작가의 ‘불편한 편의점’과 ‘불편한 편의점2’가 베스트셀러 1위와 3위를 각각 차지했다. 마찬가지로 ‘메리골드 마음 세탁소’, ‘달러구트 꿈 백화점’이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고 여기에 ‘어서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까지 베스트셀러에 신규 진입하며 이른바 ‘힐링 소설’을 찾는 독자들의 손길이 꾸준한 것을 알 수 있다. 문학동네 출판사의 2023 제14회 젊은 작가상 수상 작품집’도 독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2010년부터 올해까지 매년 출간돼 온 젊은 작가상 수상 작품집은 현재 가장 주목할만한 국내의 신진 소설가들을 독자들에게 소개하는 대표적인 책으로 자리매김했다. 지난 분기 4위에 랭크됐던 정지아 작가의 ‘아버지의 해방일지’는 이번 분기 종합 베스트셀러 2위로 2단계 상승하며 스테디셀러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그런가 하면 천명관 작가의 ‘고래’는 2004년에 출간됐지만 최근 세계 3대 문학상 중 하나로 꼽히는 영국 커상 후보에 지명되며 20년만에 재조명을 받았다. 에세이 분야에서는 유튜버 ‘여수언니’부터 배우 김혜자, 축구선수 손흥민의 아버지이자 축구 지도자인 손웅정, 전 아나운서 손미나 등 유명인들의 저서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집필자 한소범 한국일보 기자. 문학 전문 뉴스레터 ‘무낙’을 연재하며 다양한 서평 기사를 썼다. -
Magazine
[KLN Summer 2023] The Face of Climate Grief
[KLN 2023 여름호] 기후 슬픔의 얼굴
Korean Literature Now Summer 2023 (Vol.60)
“ 여기 광활한 바다에는 몸 하나를 겨우 지탱할 수 있는 얼음 위에 북금곰이 놓여있다. 극지방에서의 기후위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기후변화에 따라오는 상실과 무력감은 ‘기후슬픔’으로 번지고 있다. 문학의 상상력은 인간을 넘어 미래로 뻗어나가며 ‘우리’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좁아지고 있는 일상의 자리에서 ‘우리’의 기후슬픔은 시차를 좁힐 수 있을까? ㅡ편집자 주 ” 기후 위기는 오랜 세월 대두된 문제입니다. 여러 매체와 단체들이 기후 위기의 심각성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고, 이상 기온이나 점점 더 빈번하게 발생하는 재난과 재해들이 기후 위기를 몸소 느끼게 하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이전과 동일한 일상을 이어 나가고 있습니다. ‘기후 슬픔의 얼굴’이라는 주제로 이어지는 KLN 여름호의 특집에서는 최정화 작가, 이원영 박사, 허희 평론가의 에세이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최정화 작가의 글에서는 우리의 현재의 모습을 되돌아 볼 수 있으며, 이원영 박사의 글을 통해 기후 위기 현상을 직접적으로 맞닥뜨리는 남극과 북극의 모습을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후 위기의 시대에서 문학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KLN 여름호 특집 중 하나인 허희 평론가의 글에서는 기후 위기 시대에서의 문학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위기의 시대. 문학이 할 수 있는 일을 생각해본다. 소설은 관념으로 아는 것을 감정으로 알게 해준다. 생각으로 이해하는 것을 감각으로 느끼게 해준다. 뜨겁다,는 전망을 통증의 언어로 바꾸고 수치와 숫자로 가득한 예견에 일상의 디테일을 부여한다. 현실을 담아내고 미래의 현실을 보여주는 건 문학만의 역할은 아니다. 하지만 어떤 문학은 독자로 하여금 이 모든 것을 느끼게 함으로써 이전에 없던 감각기관을 갖게 한다. - KLN 편집위원 정용준, EDITORIAL” 그 밖에도 KLN 여름호에서는 나희덕 시인에 대한 인터뷰와 그의 작품들을 소개합니다. 북마크 작품으로는 소설가 김성중의 <현남 오빠에게>, 소설가 정지아의 <자본주의의 적>, 시인 이영주와 김언의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으며, 고전 문학 작품으로 <최척전>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목차 Featured Writer Interview with Ra Heeduk: Poetry at the End of the World [Poetry] Ten Poems by Ra Heeduk [Essay] Where to Go from Here: The Ecopoetry of Ra Heeduk Cover Feature A Different Way of Life, A Different Kind of Fiction: Writing The Weathermaster From Climate Change to Climate Grief We Have to Protect the Future of All Life: The Emergence of Climate Crisis Awareness in Korean Literature Bookmark [Fiction] Martian Child [Fiction] The Enemy of Capitalism [Poetry] Two Poems by Lee Young-ju [Poetry]Two Poems by Kim Un Inkstone The Tale of Choe Cheok 1 Reviews [ENGLISH] Space Force – Less Is More [GERMAN] Love for Love in the Big City? [ENGLISH] Across Multiple Leaps: Kim Haengsook’s Human Time Introduces a Major Korean Poet [SPANISH] To Buy Forgiveness [CHINESE] The Courage to Choose Love -
Curation
Must-Read Mysteries and Thrillers for Hot Summer Days
무더운 여름 꼭 읽어야 하는 미스터리/스릴러 작품을 소개합니다
한국 문학의 성수기는 여름이다. 여름휴가를 앞두고 문학 출판사들은 한 해 장사를 책임질 대형 소설들을 일제히 쏟아낸다. 휴가를 떠나는 이들이 머리를 식히기 위해 소설 한 권쯤은 집어들지 않을까하는 기대를 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공항에서 우연히 찾은 서점에서도 소설을 한 권 사는 건 부담이 없기 떄문이기도 할 것이다. 김영하의 ‘작별인사’, 최은영의 ‘밝은 밤’, 이미예의 ‘달러구트 꿈 백화점’ 같은 최근 3년 사이의 대형 베스트셀러를 비롯해, 과거로 돌아가도 정유정의 ‘28’ 등 많은 히트작이 여름에 출간되어 연말까지 꾸준히 팔리는 히트상품으로 등극했다. 무엇보다 여름밤이 길고 무더운 한국 독자들에게는 스릴러와 미스터리 소설만큼 읽기 좋은 장르 소설도 없다. 한국 드라마와 영화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순문학에 편중됐던 한국 문학의 장르도 마침 다양하게 넓어지고 있다. 젊은 작가들의 재기발랄한 문장과 톡톡튀는 아이디어, 보는 이를 쥐락펴락하는 스릴까지 갖춘 미스터리, 스릴러 분야에서 올 여름에 새롭게 출간되는 신작 소설들을 소개한다. <한밤의 시간표> 정보라 <한밤의 시간표>는 한국 SF소설 작가로는 최초로 영국 최고 권위 문학상인 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 최종 후보에 오른 정보라 작가의 신작이다. 이 책은 정체불명의 물건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수상한 연구소에서 벌어지는 이야기 7편을 묶은 이 연작소설집이다. 한여름 밤 더위를 가시게 만드는 오싹하고 무서운 괴담이면서도 동시에 온기가 도는 이상한 여운을 남긴다. 작가 특유의 저주와 복수의 테마를 담아 선악에 대한 엄정함뿐만 아니라 약자와 소수자 그리고 인간이 아닌 존재에까지 뻗치는 온정 어린 시선 덕분일 것이다. 무서운 이야기로 자아내는 기이한 위로의 소설인 셈이다. 정보라 작가는 “놀이동산 같은 작업이었다. 쓰면서 정말 재미있었다”라고 소감을 남겼다. <만조를 기다리며> 조예은 <칵테일, 러브, 좀비>로 젊은 독자들의 열광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조예은의 신작 소설이다. 경쾌한 호러 스릴러에 해피 엔딩 한 스푼을 곁들이는 특징으로 ‘조예은 월드’라는 수식어까지 얻은 작가다. 이 소설은 주인공 정해가 소꿉친구 우영이 만조의 바다에 몸을 던져 자살했다는 소식을 받으며 시작된다. 산에 묻히고 싶다고 입버릇처럼 말해온 우영이 바다에 몸을 던졌다는 것을 도무지 믿을 수 없었던 정해는 우영의 자취를 쫓아 사이비 종교 영산교 한복판으로 뛰어든다. 썰물에 갯벌이 드러나듯, 만조의 검은 바다가 감추고 있던 영산교와 우영의 진짜 비밀이 서서히 모습을 드러낸다. 종교적 광기가 만들어내는 사회적 현상을 날카롭게 풍자하면서도 주인공이 미신과 기도에 의지해서라도 친구가 재회하고 싶은 소망을 동력으로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는 흡입력이 있는 소설이다. <새벽 2시의 코인 세탁소> 박현주 박현주 소설가의 연작 미스터리인 <나의 오컬트한 일상> 시리즈의 신작이다. 주인공인 ‘나’는 여전히 오컬트 칼럼을 잡지에 실으며 눈앞에 닥쳐온 초과학적인 사건들을 해결한다. 문 닫힌 코인 세탁소에 갑작스럽게 나타난 여자, 미래의 남편을 보여주는 거울, 생의 마지막에 가까워질 무렵 나타난 전생의 연인, 영화감독이 잃어버린 것을 찾아 떨리는 방망이, 복수를 위한 저주 인형 등 연달아 발생하는 불길한 사고들을 탐정처럼 해결해나간다. 각각 다른 주제를 다루는 연작으로 이루어진 단편집이지만, 작품을 관통하는 미스터리가 서로 다른 사건을 한 줄기로 연결한다. 트루먼 커포티, 찰스 부코스키 등의 소설을 비롯해 숱한 미스터리 소설의 번역가로도 유명한 작가는 고전적인 추리 소설의 구조를 지키면서도 오컬트적 요소가 가미된 한국적인 이야기를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 <하인학교> 김이은 다난한 삶을 뒤로하고 남몰래 평범하게 살아가던 한서정의 삶은 한순간에 무너진다. 사기와 횡령 그리고 살인 혐의를 받게 된 것. 두려움에 휩싸인 그녀는 어릴 적 친구 이진욱의 조언대로 ‘하인학교’를 찾아간다. 고급 리조트 솔라즈를 외부와 구분 짓는 측백나무 숲 한구석, 지하에 숨겨진 하인학교는 재벌가의 저택이나 육성급 호텔처럼 화려하면서도 오래된 고시원처럼 음습한 곳이다. 하인학교 학생들의 목표는 하인으로 들어가 재벌가의 주인이 되는 것이다. 이들은 모두 행복도, 영광도, 희망도 남지 않았기에 이들은 하인학교에 당도한다. <하인학교>는 계급의 벽을 부수고, 그 안쪽으로 들어서려는 이들의 삶을 냉정하고 스릴있게 묘사하는 김이은의 스토리텔링이 빛이 나는 소설이다. <런어웨이> 장세아 한국형 고딕 스릴러를 표방하는 <런어웨이>는 명품 브랜드 홍보 담당자로 오래 일한 장세아 작가의 장편소설이다. 교보문고 스토리 공모전에 출품했던 단편소설이 주목받아 교보문고 추천작으로 장편소설로 탄생했다. 어스름한 새벽 첫차 안, 무언가로부터 쫓기듯 도망치던 재영은 우연히 같은 칸에 탄 젊은 아기 엄마를 만나게 된다. 쪽지와 아기만 남겨 놓고 아기 엄마는 사라져 버리고 ‘나 대신 아기를 꼭 데려다 달라’는 부탁을 들어주기 위해 대신 시가를 찾아간 재영은 서양식 저택의 웅장함에 압도당한다. 자기가 아기 엄마라고 거짓말을 한 재영은 자신의 처지를 잊고 부잣집 맏며느리 역할에 적응해 나가지만 번듯해 보이는 이 가족이 숨기고 있던 엄청난 비밀을 알게 되면서 자신이 치명적인 실수를 저질렀다는 것을 깨닫는다. 김슬기. 매일경제신문 문화스포츠부 기자. 2012년부터 문학과 출판 분야를 담당하며 책을 소개하는 서평기사를 쓰고 있다. 출판사, 에이전시, 에디터 회원의 경우 다음 링크에서 저작권 정보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klwave.or.kr/klw/rights/34/publishersView.do -
Curation
Introducing KLWAVE's Bestsellers of the 1st Quarter!
KLWAVE 1분기 베스트셀러를 소개합니다.
「KLWAVE에서는 해외 독자들에게 다양한 한국문학 작품을 소개하는 콘텐츠를 게재하고 있습니다. 이번 연도에는 한국문학 베스트셀러 작품들을 분기별로 소개합니다. KLWAVE의 1분기 베스트셀러는 2023년 1월부터 3월까지 국내 서점 두 곳과 한국도서관협회에서 제공하는 인기대출순위(1~3월)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였습니다.」 몇 년 째 이어지고 있는 이른바 ‘힐링 소설’ 인기는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김훈, 김영하, 김연수, 최은영 등 한국 문학의 중심이 되는 유명 가들의 신작들, 그리고 여러 이유로 독자들에게 재조명 되는 작품도 있었다. 상반기 가장 눈에 띄는 베스트셀러 중 키워드 중 하나는 바로 ‘역주행’이다. 출간 직후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이후 여러가지 이유로 독자의 재주목을 받은 작품이 눈에 띄었다. 2019년 출간된 이혁진 작가의 연애소설 ‘사랑의 이해’는 최근 소설을 원작으로 한 동명의 드라마가 인기를 끌면서 원작에 대한 관심이 함께 높아진 경우다. 그런가 하면 15년 출간된 최진영 작가의 ‘구의 증명’은 출간 직후 한해 2,000부 남짓 팔렸으나 지난해부터 독자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면서 올해 1분기에는 5만부가 팔렸고 현재까지 15만부가 팔려나가며 재조명됐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달러구트 꿈 백화점’, ‘불편한 편의점’ ‘책들의 부엌’, ‘메리골드 마음세탁소’ 등 일상 속 익숙한 공간을 배경으로 따뜻한 위로를 전하는 이른바 ‘힐링 소설’들이 베스트셀러 순위에 골고루 포진했다. 특히 ‘불편한 편의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상반기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했을 뿐만 아니라 ‘불편한 편의점2’도 베스트셀러 3위를 차지하며 인기를 견인했다. 한국문학의 묵직한 중심을 잡고 있는 대표 작가들의 최신작도 독자의 사랑을 받았다. 김훈의 ‘하얼빈’과 김영하의 ‘작별인사’, 김연수의 ‘이토록 평범한 미래’ 등은 뛰어난 문학성으로 독자들의 인정을 받았다. 여성 독자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고 있는 최은영 작가 역시 첫 장편소설 ‘밝은 밤’도 꾸준히 인기를 끌며 ‘젊은 거장’으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정지아 작가의 ‘아버지의 해방일지’는 빨치산이라는 한국 현대사의 비극적인 소재를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종일관 경쾌하게 진행되며 중년 독자뿐 아니라 젊은 독자들에게까지 사랑 받았다. 집필자 한소범 한국일보 기자. 문학 전문 뉴스레터 ‘무낙’을 연재하며 다양한 서평 기사를 썼다. -
Curation
[KLN Spring 2023: Bookmark 1] When I Start Weeping
[KLN 2023 봄호: 북마크 1] 내가 울기 시작할 때
Korean Literature Now Spring 2023(Vol.59)
KLN 2023년 봄호에서 소개하고 있는 김지연 작가의 <내가 울기 시작할 때>는 《마음에 없는 소리》 소설집에 담긴 단편선입니다. 《마음에 없는 소리》는 작가가 여러 매체를 통해 발표한 작품 중 아홉 편의 작품을 선별하여 발간한 소설집입니다. 이 소설집에는 작가의 등단작인 <작정기>부터 문학동네의 젊은작가상을 수상한 <공원에서>, <사랑하는 일>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그 중 <내가 울기 시작할 때>는 작가가 《마음에 없는 소리》 수록 작품 중 가장 먼저 쓴 작품으로, 작가는 KLN을 통해 해외 독자들에게 선보이고 싶은 작품으로 손꼽았습니다. <내가 울기 시작할 때> 중 일부를 소개합니다. “다 울고 나니 번다한 생각들이 모두 다 용해된 느낌이었다. 그렇게까지 울기 위해서는 엄청난 열의와 압력이 필요했다. 절대 사라지지 않을 것만 같았던 악감정들을 온몸으로 울면서 모두 죽여버린 기분이었다. 때로 울음이 정화인 것은 어떤 살해에 성공했기 때문인지도 모르지.” 전문은 https://kln.or.kr/lines/fictionView.do?bbsIdx=1934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agazine
[KLN Spring 2023: Essay 3] Humans, Born from the Face of the Persecuted
[KLN 2023 봄호: 에세이 3] 인간은 박해받는 자의 얼굴에서 태어난다
Korean Literature Now Spring 2023(Vol.59)
Here is another essay focusing on the theme of mourning by literary critic Jeon Seung-min, entitled “Humans, Born from the Face of the Persecuted.” The text discusses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the memory of certain events as well as the lasting effects of tragic incidents on victims and their families. The essay also draws on author Kim Nam-sook’s short story “Paju” to illustrate the kind of life-altering repercussions a traumatic experience can have on a victim’s life. The following passage is an excerpt from the essay. "... And yet, there are certain things that must be remembered and protected against this uncontrollable material power of time, even if the period of time in question far exceeds one’s lifetime. I’m referring to remembering moments of violence that occurred in the past but have not been properly settled. ..." "Through Hyeon-cheol, the story describes the process of self-mourning wherein the victim is forced to rescue himself through nonviolent means. He is attempting to regain the right to forget. Paradoxically, for him to properly forget, he must first remember what happened. The aggressor, on the other hand, will always find these situations unfair, as he has long ago forgotten what happened in the first place. This is why violence should always be remembered and kept alive in the public domain, why a grieving period is necessary for the victims not to remain trapped in a swamp of self-loathing and remorse, and why alternate mechanisms must exist for individuals to separate themselves for the sake of oblivion." Jeon Seung-min is a literary critic. She began her career after receiving the Daesan Literary Award for College Students in 2020 and winning the Seoul Shinmun New Writer’s Contest in 2021, in the literary criticism category. Having majored in English literature at Sogang University, Jeon is currently pursuing a master’s degree in the graduate school of her alma mater. Her areas of interest are twentieth-century British modernist fiction and queer feminist discourse. To view the entire text, please click on the following link: https://kln.or.kr/lines/essaysView.do?bbsIdx=1935 -
Magazine
[KLN Spring 2023: Essay 2] A Mourning against Mourning
[KLN 2023 봄호: 에세이 2] 애도에 저항하는 애도
Korean Literature Now Spring 2023(Vol.59)
In her essay “A Mourning against Mourning,” literary critic Sung Hyunah delves into the topic of “forgotten deaths and erased names” by exploring the ways in which mourning tends to be portrayed in works of Korean literature. The following passage is an excerpt from the essay. “In the past, Korean literature served as a counter-memory while the state forbade the memory of mass murder. Covered-up deaths were written down to tell people the appalling truth; the facts were embodied in stories so that they would be remembered longer, made more specific so that they could be experienced more closely. In addition, Korean literature had to defy mourning in certain forms.” "Korean literature must practice mourning by resisting three different types of mourning in general. First, a distorted form thereof. ... To do so requires an effort to examine historical facts from multiple angles and to shed light on hidden aspects in order to secure an exhaustive record. ... Second, a mourning that refuses selective mourning. Literature must make note of the names considered less important than others and relegated to the back burner, and hence deprived of a chance to be remembered; it must also question the assessment, “worth remembering.” ... Third, a nationalistic mourning." "... Concealment and distortion, selection and symbolization must be discussed more often and examined properly so that forgotten names may take on their colors again. It is certain that new works of literature are coming into existence even today, to cast off a narrow sense of mourning and come up with a deeper, more comprehensive way to mourn." Sung Hyunah is a literary critic. She began her literary career in 2021 by winning the New Writer’s Contest held by the Kyunghyang Shinmun and the Chosun Ilbo. She received the Daesan Creative Writing Fund in 2022. To view the entire text, please click on the following link: https://kln.or.kr/lines/essaysView.do?bbsIdx=1936
-
Magazine
[nŏmŏ Spring 2023] The Current State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nŏmŏ 2023 봄호] 디아스포라 한글 문학의 현재
Diaspora Webzine nŏmŏ
디아스포라 웹진 너머 2023년 봄호의 주제는 '디아스포라 한글 문학의 현재' 입니다. 디아스포라 문학은 현재 어떻게 흘러가고 있을까요? 22년도 7월 국제한인문학회와 공동개최한 ‘2022 디아스포라 한글 문학과 인문지리’ 학술회의 글 4편을 수록한 기획특집에서 디아스포라 문학의 현재를 엿볼 수 있습니다. 사진이야기 코너에서는 크즐오르다의 풍경을, 경계를 넘는 작가들 코너에서는 중국에서 항일독립운동을 한 소설가 김학철(오무라 마스오)의 삶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너머의 새글 코너에는 소설 4편(문지혁의 「뷰잉」, 금희 「우리가 그곳에 머물 수 없는 이유」, 박미하일 「황새 보금자리, 아우칸」, 이준호 「티그로」)와 마종기, 최지인, 정장, 이명애, 고현혜, 석화의 작품 각 2편씩 총 12편을 담았습니다. 더불어, 에세이 4편(반수연의 「이별의 역사」, 안경자의 「해바라기」, 김이향의 「더는 낯설지 않은 이름들」, 문인귀 「수세인트마리 운하여」)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디아스포라 문학의 삶과 정신을 조명하는 너머의 시선들 중 디아스포라 깊이읽기 코너에서는 아나톨리 김, 김은국, 마흐무드 다르위시의 작품을 평론과 함께 심층적으로 접할 수 있습니다. 디아스포라 현장에서는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를 만나볼 수 있으며, 리뷰 K-문화 코너에서는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이자 콘텐츠 기획자인 허혜정의 ‘문화냉전시대의 드라마 한류’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너머의 한 문장을 소개합니다. " 그 많은 억새들이 불러주는 노래가 떠도는 내 혼을 도닥여주네. "       - 마종기 「해변의 디아스포라」 에서 * 디아스포라 웹진 너머는 현재 한국어로만 서비스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