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i Ihn Suk
최인석
From the time he first started writing in 1986 and until now (2017), Choi Ihn Suk is a writer who is a significant figure in Korean Realism. At times with the eyes of Charles Dickens who sharply dissects the backstreets of London as if with a scalpel, at time with the methods of Gabriel Garcia Marquez who actively uses fantasy and nightmare, Choi Ihn Suk is recreating a place of desire called Korea. Choi Ihn Suk was a playwright and a screenwriter at the beginning, but he felt limited within the domain of the performing arts which was not free from censorship. So began writing fiction. Choi Ihn Suk says the following. “At the time, there was censorship. If you finished writing a script, you had to submit it to the Performing Arts Committee before putting on the show. Then the committee would read the script. They’d cross out certain sections with red lines, demanding an edit, and in the worst case the show couldn’t happen. You could only put up a show once you passed through censorship. Fiction or poetry would get censored afterwards, but performances would get censored beforehand. Due to such conditions of the time, it was difficult to write a script and put up a play. So I began writing fiction.”
As a writer who began writing fiction to find literary freedom, Choi Ihn Suk is a writer who expands his literary scope by repeated change. Gangcheolmujigae (강철무지개 Iron Rainbow), a novel published in 2015, is a science fiction story about Korea after 2100. In Gangcheolmujigae (강철무지개 Iron Rainbow), the value of labor in Korea has fallen, and nuclear waste has been spilled over the Yellow Sea, turning it into a sea of death. Society is controlled by a totalitarian regime, and other than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reunification, it is a place of darkness. Upon such imagination of science fiction, Choi Ihn Suk throw a question of realism regarding reality.
최인석은 첫 소설을 쓰던 1986년부터 지금(2017년)까지 한국 리얼리즘을 대표하는 소설가이다. 최인석은 때로는 런던이라는 도시의 뒷골목을 메스처럼 날카롭게 해부하는 찰스 디킨스의 시선으로, 때로는 환상과 악몽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가브리엘 마르케스의 방식으로, 한국이라는 욕망의 공간을 재현하고 있다. 최인석의 작가 경력은 희곡과 시나리오가 먼저였다. 하지만 그는 검열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공연예술에 한계를 느껴 소설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최인석은 이렇게 말한다. “당시엔 검열이란 게 있었어요. 대본을 쓰고 나면 공연 전에 공연위원회에 제출해야 했죠. 공연위원회에서 그 대본을 읽고 어떤 부분은 빨간 줄을 쳐놓고 ‘수정하라’고 이야기하기도 했고, 심하면 공연을 할 수 없게 되기도 했습니다. 검열을 통과해야만 비로소 공연을 할 수 있었죠. 소설이나 시 같은 것은 사후 검열이었는데 연극은 사전 검열이었거든요. 그런 시대적인 상황들 때문에 대본을 쓰고 연극을 올리는 게 힘들어졌고 그 사이에 소설을 쓰게 됐어요.”
문학적 자유를 찾아 소설을 쓰게 된 작가답게 최인석은 거듭된 변화를 통해 자신의 작품 세계를 확장하는 작가이기도 하다. 2015년 출간한 장편소설 『강철무지개』는 2100년 전후의 한국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SF소설이다. 『강철 무지개』에 표현된 한국은 노동의 가치는 땅에 떨어지고, 서해는 핵폐기물이 유출되어 죽음의 바다가 된 세계이다. 공동체는 거대한 감시체제에 의해 제약되고, 통일이 되었다는 사실 외에는 모두 암흑과 같은 공간이다. 최인석은 이러한 SF적 상상력 위에 현실에 대한 리얼리즘적 질문을 던져놓는다.